[노병천 박사의 손자병법인문학] 세상에 쓸모없는 사람은 없다

1190

한국전략리더십 연구원장

들창코 랄프의 샤토 가이야르 전투
도자영민여상동의야(道者 令民與上同意也) ― 『손자(孫子) 시계 제1편』

옛말에 개똥도 쓸 데가 있고, 굼벵이도 구르는 재주가 있다고 했다. 아무리 하찮게 보이는 사람일지라도 결정적인 순간에 그 사람이 가진 재주 때문에 위기를 해결하는 경우가 있다.
영국 국왕 리처드1세는 사자처럼 용감하다고 해서 사자심왕(獅子心王)으로 불리지만 간략하게 사자왕(獅子王)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이스라엘 성지를 점령한 이슬람교 지도자 살라딘에 대항해 1190년 십자군전쟁을 일으켰다. 그는 기사다운 풍모와 무용을 과시해 당대의 민심을 얻었고, 무수한 낭만적 전설의 주인공이 되었다. 리처드 1세는 1198년 여름 프랑스 센강이 내려다 보이는 앙들리 절벽에 난공불락의 성 샤토 가이야르를 건설했다. 샤토 가이야르는 프랑스말로 ‘잘 지은 멋진 성’이라는 뜻이다. 리처드 1세는 왜 이곳에 성을 건설했는가? 당시 영국은 노르망디를 포함해 프랑스 땅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 땅을 재탈환하기 위해 프랑스 국왕 필리프 2세가 노리고 있는 것을 의식해 리처드 1세는 전략적 요충지에 성을 세운 것이다. 리처드 1세는 성을 완공한 지 1년도 안 된 1199년 4월 6일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당한 부상이 악화돼 숨지고 만다. 리처드 1세의 뒤를 이어 그의 동생 존(John)이 왕위에 오르자 때를 만난 프랑스 왕 필리프 2세는 프랑스 영토를 되찾기 위해 샤토 가이야르 성을 공격한다. 이때가 1203년 8월. 성 안에는 1년가량 버틸 만한 풍족한 군수물자와 충분한 물이 있었다. 마침 존 왕은 출타 중이었는데 그를 대신해 명장 로저 드 라시가 성을 지키고 있었다. 필리프 2세 역시 신중한 왕이었다. 섣불리 공격을 하지 않았다. 7개월에 걸쳐 공성(攻城)을 위한 여러 가지 준비를 끝낸 뒤 드디어 1204년 2월 공격을 시작했다. 투석기는 성을 향해 무수히 돌을 날렸고, 성벽을 향해 이동식 망루가 힘차게 전진했다. 성안의 영국군도 이들을 맞아 죽기 살기로 싸웠다. 필리프 2세는 성벽 아래를 지나는 여러 개의 땅굴을 파고 그 속에다 불을 질렀다. 성벽의 기반을 열로 달궈 약하게 만들기 위해서였다. 뜻대로 성벽의 일부가 무너지자 그 틈을 통해 프랑스군이 성안으로 밀고 들어갔다. 백병전 끝에 견디지 못한 영국군은 중간지대로 후퇴했다. 그런데 과연 샤토 가이야르는 난공불락의 성이었다. 프랑스군은 퇴각해야 했다. 필리프 2세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아무리 완벽한 성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그 안에는 약점이 있게 마련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부하들에게 결정적인 약점을 찾으라고 명령했다. 이때 랄프라고 하는 평민 출신의 병사가 등장했다. 코가 위로 들려 있어 ‘들창코’라는 별명을 가진 사내였다. 그런데 못 맡는 냄새가 없었다. 성안 침투로를 찾느라 이리저리 다니던 중 드디어 ‘냄새’를 맡았다. 똥 냄새였다. 인분통의 오물이 통과하는 배수로를 찾아낸 것이다. 이 배수로는 10m의 높이로 성안과 통하고 있었다. 잠시 후 랄프와 그의 동료들은 배수로를 통해 성 내벽 안으로 들어가는 데 성공했다. 똥을 덮어 쓴 랄프 일행을 발견한 영국군은 몹시 당황했다.
양쪽이 서로 뒤얽혀 싸우는 가운데 주변에 있던 성벽 일부에 불이 붙었고 불길은 삽시간에 주변에 옮겨 붙었다. 혼란 속에 영국군은 마지막 방어선으로 물러갔고 랄프와 동료들이 내벽의 성문을 열자 프랑스군이 물밀 듯이 성안으로 들어왔다.
드디어 1204년 3월 6일 마지막 방어선이 무너졌고 라시와 함께 끝까지 버티던 140여 명의 병사는 항복을 하고 말았다.
샤토 가이야르를 7개월 동안 포위했지만 본격적인 전투는 한 달 만에 끝이 났다. 이 전쟁의 패배 뒤 정치적 입지가 약해진 존 왕은 1215년에 국왕의 권리를 제한하는 내용을 담은 그 유명한 마그나 카르타 대헌장에 서명하게 된다. 오늘날 세계적인 관광지로 유명한 샤토 가이야르에 가면 ‘들창코’를 기리는 기념비는 없지만, 필리프 왕이 그에게 기사 작위와 함께 많은 토지와 금화를 준 전설 같은 얘기를 관광가이드들로부터 들을 수 있다.
손자병법 시계(始計) 제1편에는 도(道)의 개념이 나온다. 도는 중국 철학의 핵심 화두이며 사용자에 따라 용법도 다양하며 난해하다. 노자의 도는 변화를 관장한다. 노자는 그 변화를 ‘유무’(有無)라고 말하고 있다. 유무는 자연으로 이해해도 좋다. 자연의 속성은 생겨나고(有) 또 사라진다(無). 있다는 것은 없다는 것에서 나왔다(有生於無).
이와 같이 만물이 생성되기도 하고 소멸되기도 하는 이치를 도라고 했다. 공자가 말하는 도는 노자와 다르다. 공자는 자연이 아니라 사람의 도를 말한다. 마땅히 사람이 밟아야 하는 길이다. 왜 사람은 도를 따라야 하는가? 사람은 만물의 일부가 아니라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노자가 자연 사상의 출발이라면 공자는 인문 사상의 출발이다. 공자의 도는 사람이 닦아가는 길인데 이를 ‘문(文)’이라 했다. 그래서 공자는 학문을 게을리 하지 말라고 말한다. 반면 노자는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일을 완성한다는 ‘무위(無爲)’를 주장했다. 이렇게 도의 개념은 각각이다.
그렇다면 공자와 같은 시대를 살았던 손자는 도를 어떻게 말했을까? 손자가 말하고 있는 도는 당시 제자백가(諸者百家)들이 주장하는 도의 개념과 확연히 다르다. 시계편에서 말하고 있는 도는 이렇다. “도라는 것은 위와 아래가 같은 마음을 갖는 것을 말한다.
그리하여 가히 함께 죽기도 하고 가히 함께 살기도 하여 어떤 경우에도 마음이 갈라지지 않는 것을 말한다(道者 令民與上同意也 故可與之死 可與之生 而民不詭也).” 무슨 뜻인가? 그렇다. ‘하나’가 되는 것을 말한다. 마음이 ‘하나’가 되면 삶과 죽음을 함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노자가 말하는 ‘무위’도 아니고 공자가 말하는 ‘문’도 아니다. 손자의 배짱이 놀랍지 않은가? 당시 세상을 풍미했던 백가의 사상을 따르지 않고 전혀 다른 방향으로 도를 논한 것이다. 손자의 통찰력(洞察力) 또한 놀랍다. 손자는 춘추시대 말기 당시 제후들이 무엇을 원하는 것인가 그 속내를 정확히 짚어냈다. 그저 아무것도 하지 않는 ‘무위’도 아니고 사람이 마땅히 가야 할 ‘길’도 아니었다. 당시 제후들의 관심은 오직 어떻게 하면 더 많은 땅을 ‘내 것’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인가에 있었다. 그래서 손자는 거기에 포커스를 맞춘 것이다. 말만 그럴 듯한 미사여구에 빠지지 않은 철저한 현실주의다.

道者 令民與上同意也
도자 영민여상동의야
도라는 것은 백성으로 하여금 위와 같은 마음이 되는 것이다

손자가 말하는 도의 의미를 조금 더 깊이 새겨보면 이렇다. ‘하나’의 의미 속에는 사람을 차별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깔려 있다. 차별하다 보면 진정한 의미에서 하나가 될 수 없다. 성과로 모든 것을 판단하는 세상이 되다 보니까 성과를 낼 ‘능력’ 위주로 사람들을 선발하게 된다. 그러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능력에 의한 차별이 생길 수밖에 없다. 도의 진정한 의미를 아는 것이 참 중요하다. 가정이든 회사든 학교든 모든 사람들의 마음이 ‘하나’가 되도록 만들어야 한다. 회사의 높은 직책에 있는 사람들은 부하직원을 가족처럼 여겨 한 마음이 되도록 해야 한다. 부모는 자녀들을 이해하고 너그럽게 품어 한 마음이 되도록 해야 한다.
학교의 선생님들은 제자들을 이해하고 어려울 때 힘이 되어 주어 한 마음이 되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사람을 외모나 선입관으로 평가하지 말아야 한다. 열린 마음으로 모든 사람을 품어 ‘내 사람’으로 만들어야 한다. 세상에 쓸모없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모두가 귀중한 사람들이고 그 나름대로 세상에 존재하는 이유가 있다. 사람이 사람다운 것은 사람을 사람으로 대할 때다.
세상에서 무시당해도 좋은 사람은 아무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