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기업 40% “향후 1년 경기 악화 예상”

1486

무역전쟁에 기업 체감경기 7년 만에 최악

미국이 중국에 부과하는 관세로 인해 미국 소규모 기업들의 신음이 커지고 있다.
미국내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 모임 비스티지월드와이드가 미전역 소규모 기업 670여곳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올해 8월 소기업들의 체감경기는 2012년 11월 이후 최악으로 조사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일 보도했다. 지난달 조사에서 향후 12개월 동안 경기가 악화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응답률은 40%로, 지난 7월 조사 당시 응답률인 29%보다 상승했다. 이는 전년 동기인 작년 8월 조사의 응답률 23%보다도 오른 것이다.
이번 조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추가 관세 부과를 경고한 직후인 지난달 1일부터 23일까지 연 매출 100만∼2천만 달러 기업을 상대로 이뤄졌다. 응답자 중 45%는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관세 경고가 사업에 영향을 줄 것으로 답했다. 소기업 경영자들은 관세 문제로 인한 불확실성이 사업 계획을 세우기 어렵게 만들고 사업에 피해를 준다고 입을 모았다. 미시간대 리처드 커틴 교수는 “가격 상승에 적응하기도 매우 힘들지만 향후 정책이 어떻게 펼쳐질지 불확실할 때 이는 더욱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커틴 교수는 “소기업들에 이는 투자와 고용 계획에 더 신중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소기업들은 대기업보다 민첩할 수 있으나 완충 자금이 적어 경제적 어려움에 대응하기 더 어려울 수 있다고 WSJ은 지적했다. 뉴욕 소재 캐시미어 브랜드 ‘화이트+워런’의 창립자 수전 화이트 모리시는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에 대해 “대응하기 힘들며 사람의 진을 빼놓고 사기를 꺾는다”고 토로했다. 그는 “직원들은 단지 뭘 해야 할지 알고 싶어한다”며 “직장생활 중 처음으로 직원들에게 답을 줄 수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미국은 3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 중 약 1,120억 달러(미국 언론 추산) 규모에 관세 15%를 추가 부과하기 시작했다. 중국도 750억 달러어치의 미국산 수입품대해 5%와 10%의 관세 부과를 개시했다.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