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문화·경제교류부터 해야”

1166

‘통일지지 기반확대 위한 재외동포 역할’ 학술대회

forum

 

재외동포는 남북통일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까? 그 해답을 구하기 위한 전문가들의 토론회가 27일(한국시간) 열렸다. 재외한인학회(회장 이진영)는 서울 종로구 대학로 한국방송통신대 본과 3층 소강당에서 ‘통일 지지 기반 확대를 위한 재외동포의 역할 모색’이라는 주제의 학술대회<사진>를 개최했다.

인하대 교수인 이진영 회장은 “재외동포는 거주국의 주민이자 국적자인 경우가 많아 북한과의 교류가 상대적으로 자유롭고 거주국에서 통일 분위기 조성에 앞장설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수 있지만 한계도 있다는 것을 정확하게 인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이어 “대한민국의 통일에 대한 정책이 거주국의 정치적 이해관계와 상충할 수 있으며, 재외동포는 현지의 법률과 관행을 따라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며 “이런 점을 고려해 이들이 간접적이고 비정치적인 영역에서 통일에 일조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게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가 제시한 해법은 정체성 유지와 확대에 도움이 되는 문화 교류, GTI(두만강유역개발) 참여 등 경제교류. 이들 분야에서의 활약은 한민족 상호 간에 네트워크 형성을 돕는데다가 남북한은 물론 거주국에도 부담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버지니아주 ‘동해병기법’ 법안 통과에 앞장선 피터 김 ‘미주 한인의 소리’ 대표는 “법안 통과가 미 주류사회를 설득해 이뤄낸 것처럼 통일도 주류사회를 설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세영 동서대 교수는 “남북한 대결의 연장선에 있었던 민단과 총련의 대립을 비롯해 일제강점기 이전의 국적인 조선적 소지자 등 다양한 구성원과 갈등을 지닌 재일동포 사회에 대한 이해와 포용이 우선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재일 코리안 사회의 통일 공공외교의 현황과 전망’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판준 길림사범대 교수는 ‘재외동포 통일 공공외교와 한반도 평화네트워크’라는 주제 발표에서 “북한의 개방의지와 미·중·러·일의 동북아 개발전략이 맞물리면 관광, 인적교류, 공공 민간 협력, 경제 교류와 투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외동포의 활약을 기대할 수 있다”며 “이는 자연스럽게 재외동포 사회와 결합한 동북아 평화 네트워크의 구축으로 이어지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포럼에서는 남한과 북한, 러시아 3개국 물류협력 사업인 나진-하산 프로젝트 등 북·중, 북·러 경제 협력이 박근혜 정부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맞물리면서 새롭게 주목받는 상황에 대한 소개, 강원도의 GTI협력 현황, 중국·한국·북한 출신과 조선족이 공존하는 지역인 중국 단둥의 사례를 통한 평화네트워크 모색 등에 대한 발표도 이어졌다. 종합토론에서 참가자들은 “남북한의 분단이 재외동포 사회의 분단을 가져왔듯이 통일은 재외동포 사회의 통일로도 이어진다”며 “통일 문제를 논의하고 정책을 수립할 때 남과 북의 정체성만 고려하지 말고 재외동포의 존재도 포함해 한민족의 통일이란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연합>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