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경제 130개월째 호황에도 “잔치 끝나간다” 경계 목소리

1014
1980년 이후 미국 경기 동향.<그래픽=신동준 기자>

미국 경제가 130개월째 ‘트럼프 호황’을 지속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최장이었던 120개월(1991년 3월~2001년 3월) 기록을 훌쩍 뛰어넘었다. 실업률은 2009년 10월 10% 이후 계속 떨어져 지난달에는 3.6%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도 연방준비제도(Fed)의 목표치(2%)에서 안정상태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맑은 날 장마에 대비하듯 불황을 대비하자는 경계 목소리가 감지되고 있다. 미 증시에서 위험성 높은 옵션 투자비중이 높아지는 등 과열 조짐이 감지되면서 진보 진영을 중심으로 ‘트럼프 호황’이 끝난 뒤 닥칠 경제한파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미경제분석국(BEA)에 따르면 미국 경제는 지난해 2.9% 성장했다. 워싱턴주가 성장률 5.7%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유타주와 아이다호주, 애리조나주도 4%넘는 성장세를 보였다. 알래스카주가 마이너스 성장(-0.3%)을 기록한 것을 제외하고는 49개주와 워싱턴 DC까지 미전역이 경제 호황 모습이다. 블룸버그통신의 조사에서도 올해까지는 성장이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대다수다.

하지만 최대 호황 속에 곧 불황이 닥칠 것이라는 전망도 늘어나고 있다. ‘130개월 연속’ 기록을 이어가기에는 막대한 감세와 재정적자로 이뤄낸 ‘트럼프 호황’의 지속 가능성이 의심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블룸버그 조사에서 기업 최고재무책임자(CFO) 중 75% 이상은 2020년 말까지 불황이 찾아올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불황의 위험성이 6년래 최고 수준으로 나타난 것이다.전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였던 나라야나 코철러코타 로체스터대 경제학과 교수는 블룸버그통신에 “미국 경제는 당장은 강력해 보이지만 언제든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고 말했다. 장기간의 경제성장이 곧 끝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코철러코타 교수는 연준이 지금 당장 이자율을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선제적인 대응으로 실업률을 떨어트려 불황이 찾아오더라도 수요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연준이 가지고 있는 정책 도구가 제한적인 만큼 현명하게 사용해야 한다는 충고도 덧붙였다.

상황이 이쯤 되자 민주당 지지성향인 워싱턴의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가 해밀턴 프로젝트와 손잡고 15일부터 ‘불황 대비 경제 포럼’까지 준비했다. 빌 클린턴 대통령 행정부에서 재무장관을 맡았던 로버트 루빈과 2006년부터 2014년까지 연준 의장이었던 벤 버냉키 등이 참석, 닥쳐올 ‘트럼프 불황’의 심각성과 함께 전례 없는 대비책 마련을 촉구할 예정이다. 이번 포럼에서 전문가들이 주문하는 대응 방안은 과거 상식을 뛰어넘는 공격적인 방법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 활성화를 위한 단순한 세금 감면을 뛰어넘어 저소득층에 현금을 직접 지급하거나, 재정적자를 불사하는 과감한 인프라 방안 등이 논의될 전망이다. 고용보험을 통해 실업자들의 소비지출 수준을 유지하는 방안도 논의 대상에 포함됐다. 시장조사업체 CFRA의 샘 스토벌 투자전략 최고책임자는 “미국 통계국의 3월 데이터에 따르면 신규주택착공률이 전년에 비해 14.2% 하락했다”며 “경기 적신호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고 10일 미국 경제매체 포천이 보도했다. 하지만 10년 만기 국채와 2년 만기 국채의 이자율이 역전되지는 않아 아직 불황이 찾아온다고 확신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김진욱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