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나긴 자택대피령 ‘정신건강 적신호’

927

격리생활 장기화 되며 우울증·분노·불면증

외상 후 스트레스 급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스테이 엣 홈’ 자택대피령이 시행된 지 두 달 째에 접어들면서 캘리포니아주 전역의 수많은 주민들이 우울감, 분노 등을 느끼며 정신건강에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고 LA타임스가 30일 보도했다.

LA타임스는 격리 생활이 오랜 기간 지속되면 사람들이 불안, 우울증, 분노, 불면증, 외상 후 스트레스 등의 증상을 앓아 더 큰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신문에 따르면 런던의 킹스 칼리지 연구원들은 에볼라, 사스, 메르스 등의 여러 전염병 시기의 사례를 분석해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장기화되면 사람들의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에 따르면 전염병 시기 격리 기간 동안 사람들이 겪는 주민들의 스트레스 주요 원인은 지루함, 좌절감, 제한된 정보, 재정적 손실 등에 따른 것으로, 전염병이 끝난 후에도 이와 같은 스트레스가 오래도록 지속됐다.

예를 들어 병원 직원들의 경우 전염병 기간의 격리 생활이 3년이 지난 후에도 이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의 건강응급프로그램의 마이클 라이언 박사는 “주정부의 조치가 주민들을 고립시켜 심리적으로 취약하게 만들었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가주 정부의 자택대피령의 필요성은 인정하면서 “백신 개발과 같은 코로나19를 극복할 다른 대처방안을 마련할 때까지는 자택대피령을 견디는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격리 기간 동안 정신건강을 긍정적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격리된 이유에 대해서 인지하고, 감사의 마음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한 필수 생활용품을 쉽게 구할 수 있어야 하며, 다른 사람들과 주기적으로 연락하는 일이 필수적이라고 전했다.

반면 고립된 생활을 하는 것이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지는 사례도 발견됐는데, USC 대학의 래리 팔린카스 교수는 “위기 상황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면 어떤 일이든 해낼 수 있다는 사고방식은 성취감을 느끼게 해주기도 한다”고 설명했다.<석인희 기자>

시카고 한인사회 선도언론 시카고 한국일보
615 Milwaukee Ave Glenview, IL 60025